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학사
[학사] 2025학년도 제1학기 대학원 각 학위과정 영어시험 합격자 명단 제출 안내
[학사] 2025학년도 제1학기 일반대학원 신입생 학점이전 신청 안내
[학사] 학생 학적상 영문성명 변경 방법 안내
[일반대학원] (학위과정 추가) 2025학년도 제2학기 석사학위과정에서 석∙박사 통합과정으로의 학위과정 변경 모집 안내
[학사] [대학원]2025학년도 제2학기 재입학(학부/일반대학원) ,논문제출자격재부여(일반대학원), 학부 졸업논문등제출자격재부여 신청안내
2025
[학사] 2025학년도 제1학기 대학원 각 학위과정 영어시험 합격자 명단 제출 안내 바로가기
2025-1학기 일반대학원 부전공 신청 및 취소 안내
2025학년도 2학기 일반대학원 장학금 시행 안내 바로가기
한국고등교육재단 제51기 2025년 해외유학후보장학생 선발
[3.1문화재단]장학생 모집 공고
2025학년도 대학원 융복합 프로젝트 예비 장학생 선정결과
[태광그룹 일주학술문화재단] 2025년 33기 해외박사 장학생 선발
[대학원] [한미교육위원단] 풀브라이트 미국 대학원 유학 장학생 선발 안내
[반포잠원교육지원센터] 『AI와 천 개의 마음이 만나는 예술』 전시 예술 강사 인력 협조 요청 바로가기
[인재개발원/채용상담회]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캠퍼스 JOB TALK : 9.30.(월), 신공학관
[인재개발원/채용설명회] CJ올리브네트웍스 2024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설명회 : 9.24.(화), 아산공학관
[인재개발원/채용설명회] 한화비전 채용설명회 안내: 9.12.(목), 학문관 소극장
[인재개발원/채용박람회] 2024 EWHA JOB FAIR 참여 안내: 9.10.(화)~9.11.(수), ECC
[인재개발원/채용설명회·상담회] 삼성화재 2024 하반기 3급 신입사원 채용 행사 안내: 9.10.(화)
2024
<코로나19 감염 예방 수칙> 안내 바로가기
[중앙도서관] 도서관 정보검색·활용교육(2025) 비교과 과정(사이버캠퍼스) 안내
[인재개발원] 25년 7월 진로취업교육 일정 안내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25학년도 하계한문특강 홍보
[강원역사문화연구원 강원학연구센터]2025년 강원학 연구논문 지원사업 홍보
[한국사회복지사협회]제2회 사회복지사 논문 경진대회
글로벌 여성리더 양성을 위한 꿈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이 함께 합니다.
학사일정
Academic Calendar
강의시간표/계획안
Lecture timetable/syllabus
입학안내
Admission Guide
사이버캠퍼스
Cyber Campus
이화포탈
Ewha portal
중앙도서관
Central Library
인터넷 증명발급
Internet certificate issuance
인재개발원
Human ResourcesDevelopment Center
대학원학생회
Graduate Student Council
대학원동창회
Graduate alumni
본교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8년차 성과평가 최고등급 획득
과학적 수월성, 여성리더 양성, 대중참여 노력까지 세계 최고 수준 평가 본교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단장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물리학과 교수)이 출범 8년차 성과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탁월함(Excellent)’ 등급을 획득했다. 이는 2022년 5년차 평가에 이은 연속 두 번째 최고 등급으로, 연구단의 국제적 연구 역량과 운영 성과를 다시 한번 입증한 결과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장기적인 기초과학 연구의 특성을 고려해 연구단 출범 5년 차에 첫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이후 3년 주기로 정기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2017년 출범한 양자나노과학연구단에 대한 이번 8년차 성과평가는 세계 석학 및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에 의해 진행됐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이입주한연구협력관 |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안드레아스하인리히교수 평가 결과,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의 양자 스핀 제어·측정 기술은 세계 선도 수준이며, 독창적인 연구 접근과 장비 개발 능력,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성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수월성을 보인다는 평가를 받았다. 평가단은 “연구단이 짧은 기간 안에 전례 없는 속도로 발전하여 글로벌 연구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탁월함’ 등급은 매우 당연한 결과”라고 언급했다. 연구단은 특히 초정밀 저진동 실험실 등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환경을 구축해 개별 원자 수준의 양자 현상 측정·제어를 수행하고 있으며, 사이언스지 등 세계적 저널에 다수의 핵심 논문을 발표하며 ‘한국 최초의 큐비트 플랫폼’을 구현하는 등 양자 컴퓨팅 및 계측 기술에서 혁신적 성과를 창출해 왔다. 높은 여성 인재 비율(57%)과 국제 연구자 비중 등 연구문화의 다양성에서도 모범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미술대회 개최, 나노코믹 과학특강 프로그램 등 대중 참여 노력도 높이 평가받았다.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은 미국 IBM에서 18년간 나노과학 연구를 주도한 석학으로, 2016년 본교 물리학과에 부임해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의 창립부터 실험 인프라 설계, 인재 구성, 연구방향 설정 등 전 과정을 총괄해 왔다. 하인리히 단장은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이 연속으로 두 번째 최고 등급을 받은 것은 기초부터 양자 과학을 구축한다는 우리의 비전을 입증하는 동시에 독창적 연구 접근법이 양자 연구에서 완전히 새로운 길을 열고 있음을 확인해준다”며 “한국의 양자 미래 기반 구축을 위한 세계적 연구를 이어가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의 성공은 본교의 연구 우수성에 대한 전폭적 투자와 지속적 헌신에 힘입은 바가 크다. 본교는 2017년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을 유치한 이래 특별히 맞춤 설계된 연구협력관을 준공하여 초정밀 연구 수요에 맞춰 한국에서 가장 낮은 진동을 자랑하는 맞춤형 연구 공간을 제공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실험 환경을 제공해 양자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지원은 연구단이 국제 연구 인재를 유치하고 혁신적 성과를 창출하는 데 핵심 역할을 했으며, 이곳을 거쳐 간 본교 재학생들은 유럽 주요 대학과 글로벌 기업 등에서 연구 리더로 성장해 나가고 있다. 본교는 앞으로도 IBS 및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의 협력을 통해 기초과학 발전과 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해 장기적 전략과 교육 연계를 병행하며, 양자 과학 생태계의 중심지로서 최고 수준의 연구를 통해 차세대 과학기술 인재 양성과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축사를 전하는 이향숙 총장(왼쪽) 한편,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은 2025년 ‘국제양자과학의 해(International Year of Quantum, IYQ 2025)’를 맞아 6월 23일(월)~27일(금) ECC에서 를 개최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은 한국에서 이루어진 세계적 수준의 양자 연구 성과를 기념하고자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양자 물질 △표면 위의 스핀 △빛-물질 상호작용 △표면 화학 △첨단 기법 다섯 개 세션으로 구성된 이번 행사에는 주사탐침현미경(Scanning Probe Microscopy) 분야 전문가를 비롯해 양자 커뮤니티 연구자 및 관계자 400여 명이 참여했다.
이화여대 앞 ‘스크랜튼길’ 명예도로 지정
본교는 서대문구와 함께 6월 20일(금) 오전 11시 이화여대 ECC에서 스크랜튼길 명예도로명 지정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명예도로 지정은 한국 선교 140주년을 맞아 한국 여성교육의 효시인 이화학당 설립자 메리 스크랜튼(Mary F. Scranton, 1832~1909) 선교사의 헌신과 공헌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스크랜튼길은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앞 이화여대길 555m 전 구간, 15m 폭으로 조성됐다. 도로 시점과 종점, 중간 지점에는 명예도로명을 알리는 안내판과 도로명판이 설치된다. 서대문구 주관으로 열린 이날 기념행사에는 장명수 이화학당 이사장, 이향숙 총장과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을 비롯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교구교경협의회 관계자, 이화여대 학생과 교직원, 지역 주민 등 약 80명이 참석해 이화의 139년 여성 교육의 역사적 의미와 스크랜튼 선교사의 업적을 돌아보는 자리로 마련됐다. (왼쪽 다섯 번째부터) 이성헌 서대문구청장, 장명수 이사장, 이향숙 총장, 박성연 학사부총장, 박정수 대외부총장, 안선희 교목실장 안선희 교목실장의 기도로 문을 연 이날 행사는 서대문구청 경과보고, 이성헌 구청장의 기념사와 이향숙 총장의 축사 후 스크랜튼길 안내판 제막 순으로 진행됐다. 이향숙 총장은 축사를 통해 “스크랜튼 선교사는 ‘여성도 배워야 한다’는 시대를 앞선 신념으로 1886년 여성 교육의 첫걸음을 내디뎠고 이것이 이화여대의 출발점이 되었다”며 “오늘 명명되는 스크랜튼길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라 이화의 뿌리를 기리고, 우리가 걸어온 길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되새기는 상징적 공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화는 앞으로도 기독교 정신과 진선미의 이념을 바탕으로 여성 리더를 양성하며, 지역사회와 조화를 이루는 대학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대문구는 본교 앞 스크랜튼길 외에도 연세대학교 앞에 언더우드길, 감리교신학대학교 앞에 아펜젤러길을 명예도로로 각각 지정했으며, 관련 기념행사를 순차적으로 진행 중이다. 명예도로 지정 기간은 올해 4월부터 2030년 4월까지로, 추후 연장 가능하다.
글로벌 R&D 이끌어갈 ‘글로벌 기초연구실’에 본교 3개팀 선정
본교 연구진이 '2025년도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Global BRL)'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3개 연구팀은 향후 3년간 1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인공지능 및 탄소중립 연구를 수행한다. 기초연구실(Global BRL)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집단연구 지원사업으로, 전략적 기초과학 주제를 중심으로 소규모 정예 연구집단을 육성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역량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사업에는 심화형·개척형 2개 유형에 47개 대학 103개 과제가 신규로 선정됐다. (왼쪽부터) 남관우, 박시재, 이병훈, 황혜림 교수 화공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은 심화 연구 지원과 소규모 연구집단 체계적 육성을 위한 심화형 글로벌 기초연구실에 선정되어 에너지 저장 및 자원 순환을 통합하는 혁신적 탄소중립 에너지 솔루션 구현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한다. 본교 화공신소재공학과 남관우 교수(연구책임자), 박시재 교수, 이병훈 교수, 황혜림 교수를 비롯해 하버드 David A. Weitz 교수가 참여해 △고에너지밀도 양극재 및 H2 배출-포집 전지 시스템 개발 △전도성 고분자 기반 음극-전해질 계면 보호층 개발 △고전압용 전해질 및 수소/물 계면 안정화 이론 확립 △H2 및 CO2 활용 화이트 바이오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수소/물 계면 제어를 통한 자원순환형 고성능 수계 ESS 플랫폼 구현에 나선다. 연구책임을 맡은 남관우 교수는 “고성능 수계 아연 이차전지의 상용화 기반을 구축하는 본 연구를 통해 대용량 ESS용 차세대 전지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안할 것”이라며 “탄소제로화 기반의 경제적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윤명국, 반효경, 심재형, 정이품 교수 컴퓨터공학과 연구팀도 심화형 글로벌 기초연구실에 선정되어 에너지 효율적인 범용 멀티모달 AI 구현을 위한 복합 연산 가속기 개발에 나선다. 연구팀에는 본교 컴퓨터공학과 윤명국 교수(연구책임자), 반효경 교수, 심재형 교수를 비롯해 연세대학교 정이품 교수가 참여해 텍스트·이미지·음성 등 다양한 입력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에너지 효율적 복합 연산 가속기(xPU)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코딩·퓨전·헤더로 구성된 멀티모달 연산 파이프라인의 이질성과 자원 사용의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하고, 재구성 가능한 하드웨어와 전용 소프트웨어 스택을 구축할 계획이다. 연구책임을 맡은 윤명국 교수는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AI 워크로드를 하나의 통합 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향후 자율주행·의료·로보틱스 등 산업 전반에서 활용 가능한 범용 AI 시스템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최장환, 조현수, 황진혁, 안상정 교수 인공지능학과 ‘MoAI 멀티모달 AI 기초연구실’ 연구팀은 국내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은 창의적·도전적 연구를 지원하는 개척형 글로벌 기초연구실로 선정되어 ‘간·담·췌 다중암을 전암(Pre‑cancer) 단계에서 포착하는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AI 원천기술 개발’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한다. 본교 인공지능학과 최장환 교수(연구책임자)를 필두로 조현수 교수, 서울대학교 황진혁 교수, 고려대학교 안상정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은 100만 건 규모 CT·진단보고서·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4D CT 파운데이션 모델과 임상 리포트 특화 거대언어모델을 사전학습한 뒤 결합한 Vision‑Language Foundation Model(VLM)을 개발하는 융합 집단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미국 Stanford와 독일 FAU 연구진과의 협력을 통해 다인종 빅데이터를 공동 구축하고, 시계열 AI 핵심 모듈 및 알고리즘의 글로벌 성능·보편성을 검증함으로써 기술 완성도를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연구책임을 맡은 최장환 교수는 “개발된 멀티모달 VLM은 Mini‑PACS 시제품에 탑재돼 임상 현장에서 전암 징후를 실시간 표시하고 진단보고서를 자동 생성하는 세계 최초 간·담·췌 다중암 전암 단계 동시진단 솔루션으로 상용화 될 예정”이라며 “5년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고 글로벌 의료 AI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본교는 ‘포용적 혁신으로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이화’라는 비전 하에 글로벌 연구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힘쓰고 있다. 이번 글로벌 기초연구실 선정을 통해 세계의 연구자들과 기초과학 분야 심화 연구 및 도전적 창의 연구를 수행하며 연구 역량을 갖춰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화 함께 본교는 First Mover형 연구자 육성을 위해 을 확대하고, 을 신설해 초학제간 융복합 연구지원 하는 등 연구몰입환경을 구축하며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위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THE 대학 영향력 평가’ 젠더평등 부문 6년 연속 국내 1위
‘기후변화 대응’과 ‘모두를 위한 에너지 보장’ 부문도 국내 8위 지속가능 사회 선도 교육기관으로 인정받아 본교가 영국 고등교육평가기관 THE(Times Higher Education)에서 발표한 ‘THE 대학 영향력 평가’의 ‘젠더평등’ 부문에서 6년 연속 국내 대학 1위를 차지했다. ‘기후변화 대응’과 ‘모두를 위한 에너지 보장’ 부문에서도 국내 8위를 차지해 지속가능 사회를 선도하는 교육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QS세계대학랭킹, ARWU와 함께 세계 3대 대학 랭킹으로 꼽히는 THE 세계대학평가는 2019년 대학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달성과 사회공헌에 대한 기여도를 측정하기 위해 세계대학 영향력 평가(Impact Rankings)를 신설했다. 영향력 평가란 대학들이 UN의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며 대학의 사회적 책무를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다. 대학의 연구업적, 사회적 평판 등을 살펴보는 기존 평가와 달리, 기후변화, 젠더평등,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안위 등 ‘지속가능한 지구의 발전’을 위한 대학의 기여도를 측정하는 세계 최초의 평가로 주목받고 있다. 본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세계대학 영향력 평가에 참가해 ‘젠더평등(Gender Equality)’ 부문에서 6년 연속 국내 대학 1위를 차지하며 명실상부 최고의 여성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젠더평등 부문은 대학의 젠더평등 연구실적, 여성 고위직 비율, 차별철폐정책 등을 측정하며 젠더평등 사회 구현을 위한 대학의 사회적 책무를 이해하는 척도가 된다. 또한 본교는 ‘기후변화 대응’과 ‘모두를 위한 에너지 보장’ 부문에서도 국내 8위를 차지했다. 특히 대학 최초로 UNEP-GCF에 서 지원하는 태평양 도서 5개국 기후정보 조기경보 소통체계 개발 사업에 참여 중인 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함께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건물 신축 또는 리모델링시 친환경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2017년에는 서울시 그린캠퍼스 에너지 절약 부문에서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편 본교는 교내 연구지원사업으로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환경공학과 및 건축도시시스템공학과를 선정해 해당 학과에 국내 최고 석학(허창회 석좌교수, 윤여민 석좌교수)을 영입했으며, 올해 기후환경융합연구원(CARES: Climate Adaptation,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Institute)을 설립해 기후위험을 선제적으로 예측·관리하고 산업·금융·국토 인프라 부문 회복력 강화를 위한 핵심 융합기술 연구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물리학과 창립 70주년 기념 행사 개최
1955년 설립된 이래 세계 수준의 교육과 여성 과학자 양성에 앞장서온 물리학과(학과장 최태영)가 창립 70주년을 맞았다. 이를 기념해 물리학과 동창회(회장 김수미)와 물리학과 창립 70주년 준비위원회(위원장 차지연)는 5월 16일(금) ECC 이삼봉홀에서 ‘물리학과 창립 70주년 기념식 및 동창의 밤’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향숙 총장, 이상혁 자연과학대학장, 윤진희 한국물리학회장, 물리학과 전현직 교수진을 비롯한 교내외 인사와 남상택 전 총동창회장(74년 졸), 최경임 한국미래친환경차서비스협회 이사(85년 졸),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원장(81년 졸), 이정림 한국의료기기안정정보원 원장(88년 졸), 한영이 삼성서울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교수(83년 졸), 박종애 한국연구재단 ICT·융합연구단장(87년 졸) 등 동창 250여 명이 참석해 여성 과학도의 선구자 역할을 하는 물리학과의 창립을 축하하는 뜻깊은 자리를 가졌다. 정세현 동문의 사회로 진행된 기념식 행사는 물리학과 김수미 동창회장과 차지연 창립70주년 준비위원장의 인사말, 이향숙 총장·윤진희 한국물리학회장·이상혁 자연과학대학장의 축사, 후원금 기부 약정서 및 창립 70주년 특별장학금 전달식, 자랑스러운 물리인상 시상식, 동창장학기금 출연 감사패 수여식, 동창회 공로상 시상식 순으로 진행됐다. 김수미 물리학과 동창회장은 “지난 70년간 우리 졸업생들이 다양한 학문과 분야에서 활동을 펼쳐왔듯 물리학이라는 학문의 뿌리가 깊게 내려져 다양한 학문으로 뻗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인사말을 전했으며, 이향숙 총장은 인공지능, 양자기술, 우주과학 등 첨단 기술 기반의 대전환 시대 속 물리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앞으로 이화 물리학과가 기초과학과 융합연구를 선도하고, 재학생과 동문 간 긴밀한 네트워킹을 통해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축사를 전했다. 이날 기념식에서 물리학과 동창회는 이향숙 총장에게 모교 후원금 기부 약정서를 전달했으며, 물리학과 재학생 5명에게 창립 70주년 특별장학금을 전달했다. 이어 졸업 이후 사회 각계에서 활약하고 있는 '자랑스러운 물리인' 14인을 선정하여 시상했으며, 물리학과 장학기금을 마련에 뜻을 모은 동창에 감사패를, 70년 동안 물리학과 동창회를 이끌어 온 동창에 공로패를 수여했다. 이어 진행된 동창의 밤 행사는 물리학과 동창회 김수미 회장의 건배 제의로 문을 열었으며, 동물원과 Love × Stereo의 특별 공연, 졸업 30주년 및 50주년 동창의 축하 인사 등 다채로운 행사로 마련됐다. 물리학과 동창들의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었던 이날 행사는 교가 제창으로 마무리됐다. 한편 이날 70주년 기념식과 함께 참가 동창들을 위한 오프닝 이벤트와 동창회 정기총회도 진행됐다. 물리학과 동창회는 70년 이화 물리학과의 역사를 되새기고자 이삼봉홀 안팎으로 1965년 창립이래 배출한 2,000여 명의 졸업생 단체사진과 동창들이 소중히 간직하고 있던 재학시절 물품 등 다양한 자료를 전시했다. 또한 이삼봉홀 밖에 설치된 인생네컷 포토존에서는 오랜만에 조우한 동창들과 선후배들이 함께 사진을 찍으며 새로운 추억을 나눌 수 있는 이벤트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을 제공했다. 본교 물리학과는 1959년 제1회 졸업생 11명을 배출한 이래 1,948명의 학사, 269명의 석사, 81명의 박사 졸업생을 배출하며 대한민국 여성 과학 인재 양성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사범대학, 문리대학 그리고 현재의 자연과학대학으로 소속을 변경하며 연구 분야와 규모 양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이러한 역량을 기반으로 대교협 학문분야평가 최우수(2009), 중앙일보 대학평가 단독 최상위(2010) 평가를 받았으며, 양자메타물질연구센터(SRC) 및 양자나노과학센터(IBS) 등 주요 연구센터를 운영하며 국제 공동연구 활성화, 최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화 새시대 발전기금」 모금을 위한 성주재단 바자회 및 특별강연 개최
대외협력처(처장 최윤정)는 국내 패션기업 성주그룹(대표 김성주)과 협업하여 「이화 새시대 발전기금」 모금을 위한 특별 행사를 개최했다. 「이화 새시대 발전기금」은 본교 비전인 ‘포용적 혁신으로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이화’ 및 이에 따른 발전계획 실행 및 추진을 위한 기금이다. 성주그룹은 패션 브랜드 MCM을 전개하는 등 한국 패션 산업의 글로벌화를 이끌어 온 그룹으로, 성주재단을 운영하는 등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투명 경영 및 사회 환원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오고 있으며, 글로벌 명문 사학으로서 더 큰 도약을 꿈꾸는 본교의 비전에 뜻을 함께하고자 이번 후원을 결정했다. 본 행사는 ‘성주재단과 함께하는 「이화 새시대 발전기금」 모금을 위한 특별 바자회’ 및 김성주 성주그룹 회장 초청 강연 등으로 구성되어, 6월 4일(수) 본교 ECC 컨퍼런스홀 및 국제관 LG컨벤션홀에서 각각 개최됐다. 바자회에서는 성주그룹 대표 브랜드 MCM 상품이 판매되었으며, 재학생·동창·교직원 등 현장 방문자를 대상으로 운영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성주재단은 바자회 물품 판매 수익금 중 일부를 본교 「이화 새시대 발전기금」으로 기부할 예정이다. ‘AI 시대 여성 리더십’이라는 제목으로 개최된 김성주 회장의 강연에는 본교 재학생, 교직원 등 160여 명이 참석했다. 여성·글로벌·리더십을 주제로 다양한 활동을 펼쳐온 김성주 회장은 글로벌 브랜드 MCM을 성공적으로 경영한 경험과 더불어 여성으로서 기업 세계에 마주한 도전과 이를 극복한 과정을 공유했다. 또, AI를 비롯한 첨단 기술의 등장으로 가속화되는 변화의 시대에 여성 리더의 공감력, 유연함, 사회적 책임의식이 더욱 중요함을 강조했다. 특강 후에는 질의응답 순서를 통해 강연자와 학생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시간이 마련되었으며, 김성주 회장은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인턴십 기회를 제공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또, 이후 진행된 본교 이향숙 총장과의 만남을 통해 이화여자대학교 발전과 한국 여성 인재 발굴 및 양성을 위한 양 기관의 발전관계를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본교는 「이화 새시대 발전기금」 모금을 통해 ‘포용적 혁신으로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이화’라는 비전 및 5대 전략목표인 ▲세계적 수준의 연구환경 조성 및 경쟁력 제고 ▲AI 시대를 대비하는 고등교육 대전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재정 확보 ▲행정 시스템 혁신 및 캠퍼스 인프라 고도화 ▲이화 브랜드 가치 및 글로벌 위상 제고 달성을 통해 본교의 선도적 위치를 공고히 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