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적성] 2025학년도 1학기 교직적성·인성검사 보충교육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교직적성·인성검사 보충교육 안내
◦기한 내 보충교육 미이수자는 성적 F 부여(졸업 및 장학금 수혜 시 유의)
1. 대상
2025학년도 1학기 교직적성‧인성검사 I/II 보충교육 대상자(개별 통보)
2. 일정
구분 | 일시 | |
공통 | 사이버캠퍼스 교육 | 이수 기한: 2025. 6. 9.(월) 17:00 |
선택 (택 1 필수) | 교직적성·인성 세미나 | 2025. 6. 9.(월) 16:30 ~ 18:15 |
지도교수 면담 | 면담결과서 제출 기한: 2025. 6. 9.(월) 17:00 | |
예비교원 교육현장 역량강화 프로그램 (총 61편 49시간) | 이수 기한: 2025. 6. 9.(월) 17:00 |
3. 이수 방법
사이버캠퍼스 교육(공통) + 세미나 참석, 지도교수 면담, 역량강화 프로그램 이수 중 택 1 필수
가. 사이버캠퍼스 교육(공통)
1) 장소: 사이버캠퍼스 > e-class > 2025-1 교직적성인성검사 보충교육
2) 이수 기한: 2025. 6. 9.(월) 17:00
3) 이수 방법
가) 보충교육 프로그램 「이화의 교사: 교사의 목소리와 마음」 이수
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직적성‧인성검사 보충 교육 프로그램 학습지 출력
• 1부 <교사의 목소리> 동영상 시청 후 학습지에 답을 작성
• 2부 <교사의 마음> 제시 자료를 읽고 학습지에 답을 작성
다) 작성한 보충교육 프로그램 활동지를 보충교육 과제방에 업로드 (업로드 파일명: 학번 이름)
※본인 필적확인을 위하여 반드시 수기 작성하여 업로드
나. 세미나 참석, 지도교수 면담, 역량강화 프로그램 이수 중 택 1 필수
1) 「성격유형을 활용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교수법 증진」 세미나 참석(사전 신청 필수)
가) 장소: 교육관 B동 152호
나) 일시: 2025. 6. 9.(월) 16:30 ~ 18:15
다) 신청: [교직적•인성 세미나 신청 링크] (신청기한: 5. 23.(금) 16:00)
※30명 인원제한 및 추후 전체학생 대상 공지예정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음
라) 방법
• 개별 연락처로 GOLDEN 성격유형검사 실시 링크 문자메세지 발송 예정
• 해당 링크에 접속하여 2025. 6. 4.(수)까지 검사 실시(약 25분 ~ 30분 소요)
• 검사결과 확인 후 출력본이나 휴대폰에 저장된 파일 지참하여 세미나 참석
* GOLDEN 성격유형검사 관련 정보는 아래 영상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IbY-snlIHQc)
2) 지도교수 면담
가) 방법: 지도교수 면담 후 「지도교수 면담결과서」 작성하여 교직부 제출
나) 결과서 제출기한: 2025. 6. 9.(월) 17:00
※「지도교수 면담결과서」: 교직부 홈페이지 → 공지사항 → 「2025학년도 1학기 교직적성·인성검사I/II 보충교육 안내」 [첨부파일]
3) 예비교원 교육현장 역량강화 프로그램 이수(사전 신청 필수)
가) 장소: 사이버캠퍼스 > 비교과과정 > 2025-1 예비교원 교육현장 역량강화 프로그램(교직부 개설)
나) 기한: 2025. 6. 9.(월) 17:00
다) 신청: [예비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신청 링크] (신청기한: 5. 23.(금) 16:00, 신청 1일 후부터 이수 가능)
라) 방법: 61개 동영상 전편 이수(총 이수 시간 49시간 7분)
*교육 내용: 교육현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갖고 계신 현직교사, 현장전문가, 대학교수 등의 강사진이 현장의 생생한 사례를 바탕으로 총 12개의 핵심역량에 관하여 강의
핵심역량 | 강의주제 |
[1] 디지털 교수자료 제작 및 활용 역량 | 디지털 교수자료의 제작 및 활용 |
동영상자료 편집의 기초 | |
동영상자료 편집 및 활용 | |
[2] 학교 행정업무수행 역량 | 생활교육의 달인 |
행정업무의 달인 | |
슬기로운 학교 행정 커뮤니케이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의 협업 | |
[3] 첨단 교수전략 활용 역량 | 교육용 모바일 앱의 활용 |
플립 러닝 | |
효과적 교수를 위한 구글 활용 | |
영상미디어를 활용 교수법 | |
[4] STEAM실행 역량 | STEAM교육이란? |
STEAM수업 이렇게 해보자 | |
STEAM수업자료 어디에 있을까? | |
학교 현장에서의 발명 특허 교육 | |
[5] 다양성이해교육 실행 역량 |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이해 및 지도 |
탈북 학습자의 이해 및 지도 | |
장애학생 이해교육 실행 방안 | |
다문화 감수성 제고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 |
언어지연 아동의 뇌발달 이해 및 교육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 |
[6] 부적응 및 위기학생 지도 역량 | 게임중독, 스마트폰 중독 등의 사이버 매체 과몰입 |
부적응 학생(주의산만/과잉행동)의 이해와 지도 | |
부적응 학생(불안/우울)의 이해와 개입 | |
학교폭력 및 부적응 학생을 위한 뮤지컬 프로그램 | |
[7] 창의적 교수학습 역량 | 수업의 달인 |
책 읽는 학교 공동체: 도서관 연계 교과 수업 활성화 방안 | |
박물관에서 창의적으로 가르치고 배우기 | |
온택트 시대 온라인 수업 운영의 이모저모 | |
[8] 학교현장 이해 역량 | 유아교육 현장의 이해 |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들여다보기 | |
중학교 학교현장과 청소년 문화의 이해 | |
고등학교 현장의 이해 | |
특수교육 현장의 이해 | |
[9] 인성교육 역량 | 학생과의 효과적인 대화 및 상담 기법 |
사례와 유형별 학부모와의 효과적 상호작용 | |
소통과 화합을 위한 자기표현 미술활동 | |
스포츠클럽을 통한 인성발달 함양 | |
온라인 비대면 학생상담의 특징과 유의사항 | |
MBTI성격유형에 기반한 효과적 대화법동영상 | |
[10] 교사의 자기관리 역량 | 교육적 기업가 정신 |
교사의 자기이해와 반성: 현장 연구역량 함양 | |
예비교사를 위한 젠더감수성 이해 및 소통 | |
교권보호5법의 주요 내용과 예비교사의 과제 | |
[11] 미래교육환경 변화 적응 역량 | 미래교육환경의 변화와 교사의 역할 |
학생과 함께 만드는 행복한 학습 공간 | |
창의성을 촉진하는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공간 | |
학교 밖의 교육 콘텐츠 | |
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기획과 운영의 실제 | |
디지털 콘텐츠 시대의 읽기: 예비교사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가이드 | |
빅데이터시대의 학습분석학 | |
에듀테크 활용 데이터 기반 교수설계 | |
SNS에 게시된 17만여장의 사진에서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 | |
메타버스 시대와 미래사회의 직업 | |
빅데이터를 통해 본 한국 교육 트렌드 | |
인공지능 활용 교육 사례 | |
탄소중립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 |
기후 변화와 자연 변동성동영상 | |
2024인구위기 대응 인구교육 | |
2022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방향 | |
[12] 2022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 |
2022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특징 |
4. 문의: 교직부 (02-3277-2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