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학, 예술, 과학 사이의 관계에 관심에 두고 들뢰즈와 현대 프랑스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 , 를 쓰고, 들뢰즈의 를 우리말로 옮겼다.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뤼미에르 리옹2대학교에서 영화학 석사를 마치고, 리옹고등사범학교(ENS de Lyon)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영상예술전공 대학원 전공주임 교수이다. 연구실적 영화 이미지와 현대적 사유 - 들뢰즈의 『시네마』를 중심으로 - 美學(미학), 2022, v.88 no.2, 139-171 KCI dColl. 펠릭스 과타리의 ‘세 가지 생태학’: 주체성 생산과 ‘실존적 영토’를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2022, v.15 no.1, 7-25 KCI dColl. 이미지와 개념 사이에서: 현대프랑스미학의 문제와 지형 美學(미학), 2018, v.84 no.4, 59~90 KCI dColl. 들뢰즈에서 창조의 세 전선(戰線) ‒ 철학, 과학, 예술 ‒ 철학, 2016, v.127, 103~126 KCI dColl. THE CONCEPT OF PLATEAU IN DELEUZE AND GUATTARI : ITS EPISTEMOLOGICAL AND ETHICAL IMPLICATIONS KRITERION-REVISTA DE FILOSOFIA, 2014, v.55 no.129, 79-97 AHCI Scopus dColl. 들뢰즈와 과타리의 생성 이론 -베르그손과 레비스트로스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21, no.33, 269-297 KCI dColl. “인간의 죽음” 이후 반(半)세기:기계의 노동, 생명, 언어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2020, v.13 no.1, 7-27 KCI dColl. 생명과 기계를 구분하는 세 가지 방식: 개념, 은유, 작동 인문학연구, 2019, no.41, 91-116 KCI dColl. 신체와 매체 ― 에코-테크네의 관점에서 인문논총, 2019, v.76 no.4, 357~390 KCI dColl. 들뢰즈와 시몽동‒변조, 지층, 환경‒ 철학, 2017, no. 131, 125~149 KCI dColl. 현대영화에 나타난 새로운 선택의 형식: 들뢰즈를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016, v.56, 215~237 KCI dColl. 플루서의 매체 이론과 포스트휴머니즘 기호학 연구, 2014, 제39권, 97-118 KCI 강의 2024-1 인문학으로세상읽기/ 문화철학/ 현대예술철학 2023-2 인문학으로세상읽기/ 예술과 사상/ 대학원논문연구 2023-1 예술과사상/ 인문학으로세상읽기 / 예술철학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177
-
문경원 교수는 조형예술대학교 서양화과 교수로 회화, 드로잉, 및 영상을 가르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와 미국의 칼아츠(Cal Arts, M.F.A)에서 미술 공부를 하였고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테이트리버풀(2018), 미그로스현대미술관(2015),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2015), 야마구치예술센터(YCAM 2015), 시카고아트인스티튜트(2013)등이 있으며, 카셀 도큐멘타13(2012)을 비롯하여 광주비엔날레, 싱가폴 비엔날레, 몬트리올 비엔날레, 후쿠오카 트리엔날레 등 다수의 국내외 전시를 통해 활발한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2012년 광주 비엔날레 대상 '눈 예술상',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에서 수여하는 제1회 '올해의 작가상', 그리고 2013년 제1회 멀티튜드 파운데이션에서 수여하는 '예술상'을 수상하였다. '프라미스파크' 프로젝트 및 '뉴스프롬노웨어'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국제적인 석학과 협업 및 예술의 담론을 생산하고 있다. 연구실적 [전시발표] 2023 스위스 아트바젤, 스위스, 메세 바젤(Messe Basel), 2023 [전시발표] #33 MOON KYUNGWON & JEON JOONHO 일본, 동경, SCAI PARK, TERRADA Art Complex, 2022 [전시발표] MOON KYUNGWON & JEON JOONHO: NEWS FROM NOWHERE 일본, 가나자와, 21세기가나자와 현대미술관(갤러리7,8,910,11,12), 2022 [전시발표] 구름산책자 (CLOUD WALKERS) 대한민국, 서울, 리움미술관 (M3, 블랙박스), 2022 [전시발표] 서울웨더스테이션 (SEOUL WETHER STATION) 대한민국, 서울, 아트선재센터, 2F, 3F, 2022 [전시발표] 올해의 작가상 10년의 기록 대한민국,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2, 3, 4 전시실, 2022 [전시발표] 2021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대한민국, 서울, 서울도시건축전시관, 2021 [전시발표] C-LAB Future Media Arts Festival 대만, 타이패이, Taiwan Contemporary Culture Lab, 2021 [전시발표] MMCA 현대차시리즈 2021: 문경원 & 전준호 미지에서 온 소식:자유의 마을 대한민국,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2021 [전시발표] 오쿠노토(OKU-NOTO) 트리엔날레 2020+ 일본, Suzu City, Kuro Kawara Factory, Suzu City, 2021 [전시발표] 제 13 회 광주비엔날레 : 떠오르는 마음 맞이하는 영혼 대한민국, 광주,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2021 [전시발표] POTENTIAL WORLDS 2 : Eco-Fictions 스위스, 취리히, 미그로스 미술관(Migros Museum), 2020 [전시발표] SCAI THE BATHHOUSE 30th Anniversary Exhibition 일본, 동경, SCAI PARK, 2020 [전시발표] 유 에스 비: Universe Society Being 대한민국, 부산, 부산시립미술관, 2020 [전시발표] STATION : 공공미술프로젝트 스테이션 전시 및 연계 국제 세미나 대한민국, 서울, 중앙그룹 신사옥, 정동 1928 아트센터, 2019 [전시발표] 가나자와 21세기 현대미술관 개관 15주년전_Where We Now Stand, In Order to Map the Future[1], [2] 일본, 가나자와, 가나자와 21세기 현대 미술관, 2019 [전시발표]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 시간 이미지 장치 대한민국,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2019 [전시발표] 개인전:뉴스프럼노웨어(News From Nowhere) 영국, 리버풀, 테이트 리버풀, 2018 [전시발표] GLOBALE: Exo-Evolution 독일, Karlsruhe, ZKM Artium 8+9, Germany, 2015 [전시발표] PROMISE PARK:RENDERING of FUTURE PATTERN 일본, 야마구치, Yamaguchi Center for Art and Media 일본 야마구치예술센터 , 2015 [전시발표]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축지법과 비행술 이탈리아, 베네치아, Korean Pavilion Venice Biennale, Italy, 2015 [전시발표] Fukuoka Asian Art Triennale 2014 : Panorama of the next World 일본, Fukuoka, Fukuoka Asian Art Museum, 2014 [전시발표] THE FUTURE IS NOW 이탈리아, 로마, 로마국립현대미술관 MAXXI, Italy, 2014 [전시발표] dOCUMENTA(13) 독일, 카셀, documenta-Halle, Kassel, 2012 [전시발표] 올 해의 작가상 2012 전 대한민국, 국립현대미술관, 2012 [전시발표] 제 9 회 광주 비엔날레_라운드 테이블 대한민국, 비엔날레 전시관 , 2012 강의 2023-2 현장비평II : 예술과현장/ 현대미술스튜디오Iv/ 독립연구Ⅱ 2023-1 스튜디오프랙티스Ⅱ/ 현대미술포스트스튜디오III / 독립연구III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113
-
이광호 교수는 1967년 생으로, 1994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1999년 동대학원 서양화과를 졸업하였다. 1996년부 터 다수의 개인전과 90여회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대표적으로 조현화랑(2018, 2011), 국제갤러리(2014, 2010), 창동 스튜디오 갤러리(2006) 등에서의 개인전을 비롯하여, 2018년 부산시립미술관, 2017년 세종문화회관, 2015년 국립현대 미술관, 2013년 서울대 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 2012년 런던의 사치 갤러리, 전북도립미술관, 2011년 서울시립미술관, 덕수궁 미술관, 2009년 프라하 비엔날레 등 다수의 미술기관의 그룹전 및 아트페어에 참여한 바 있다. 2016년 아트센트럴 홍콩에서 솔드아웃을 기록하였으며, 해외 미술시장에서 많은 컬렉터들의 사랑을 받고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 관, 경기도미술관, 제주도립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 포스코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100
-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85
-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81
-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80
-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84
-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183
-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65
-
- 작성자영상예술전공 대학원 관리자
- 작성일2025.09.04
- 조회수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