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식] 의학교육학교실 권복규 교수, 교육부 ‘의과대학 교육혁신 계획’ 졸속 우려
교육부 ‘의과대학 교육혁신 계획’ 졸속 우려
권복규 이화여대 의대 의학교육학교실 교수
의학교육의 본질은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의사를 양성하는 것이다. 아무리 인성이나 리더십이 뛰어나고 의사소통능력이 탁월하며 의학지식을 풍부하게 갖췄더라도 환자를 진료할 수 없으면 소용이 없다.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능력은 환자를 직접 봐야만 획득할 수 있다. 표준화 환자를 사용하는 임상수행평가(CPX)든 인공지능(AI) 시뮬레이터를 사용하는 교육이든 이들은 모두 실제 환자를 보기 위한 연습이다. 이걸로는 의학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실제 비행을 해보지 않고 시뮬레이터만 타본 조종사가 비행기를 몰 수 없는 것과 같다.
예산 540억 배정 사업계획 발표 의학교육계 현장 의견 반영 안 돼 열악한 임상학습 여건 개선해야 |
한국 의학교육의 가장 큰 파행은 뒤떨어진 교육과정, 부실한 건물과 학습 환경, 낡은 교육기자재, 바쁜 교수들의 교육에 관한 관심 부족에 있지 않다. 물론 이것들도 문제지만, 투자하고 노력하면 극복할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교수 부족, 교수가 쓸 수 있는 시간 부족, 학생들이 볼 수 있는 환자의 부재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의학교육의 발전은 요원하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 임상교육의 요체는 철저히 학생들이 환자를 보도록 하는 데 있다. 교수는 우선 학생에게 환자의 의무기록을 학습하도록 하고, 환자가 방문하면 학생이 먼저 환자를 보도록 한다. 학생은 문진과 신체검사를 수행하고 필요하면 검사 지시를 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의 결과물을 교수가 살펴보고 피드백한다. 그다음엔 다시 교수가 환자를 보면서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교정하고 이를 학생에게 알려준다.
이와 같은 임상학습 경험이 없다면 학생들은 진료하는 법을 배울 길이 없다. 혈압 측정이나 채혈처럼 간단한 술기는 몇 번 해보면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러나 의사가 된다는 것은 환자로부터 정보를 끌어내 임상 추론을 한 뒤 그 결과로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다. 이런 교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적정한 교수 숫자와 학생들에게 기꺼이 진료를 허락하겠다는 환자들이다.
불행히도 지금 대한민국 의대 교육환경에서 가장 부재한 것이 바로 이것들이다. 선진국과 같은 방식으로 하면 교수들이 하루에 볼 수 있는 환자 수는 열 명 남짓인데, 현행 의료 시스템에서 이렇게 하다가는 대학병원이 모두 문을 닫아야 한다. 학생 교육을 위해서는 교수를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뽑아야 하는데 이러면 병원 경영상황은 더욱 나빠질 것이다. 의료사고와 법적 분쟁을 두려워하는 의료 환경에서 학생에게 환자를 진료하도록 하는 것은 언감생심이다. 환자부터가 자신의 권리가 침해당했다고 분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