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직위 | 교내전화 |
---|---|---|
연남경(국어국문학과) | 호크마교양대학사고와표현교육실장 | 02-3277-3943 |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박사(고전시가 전공) * 저서 『규방가사: 공유, 소통, 치유의 글쓰기』, 보고사, 2015. 『고려 처용가의 미학적 전승』, 보고사, 2004. 『노랫말의 힘, 추억과 상투성의 변주』, 책세상, 2005. 『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 전통』, 소명, 2004(공저).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 역락, 2002(공저). * 역서 『근대수신교과서』, 소명, 2011(공역). 『심양장계: 심양에서 온 편지』, 창작과비평사, 2008(공역). * 연구논문 '고전읽기를 통한 계열별 글쓰기의 실제: 이화여대 <고전읽기와글쓰기> 공대 특성화반을 중심으로', 「대학작문」 17호, 대학작문학회, 2016. '70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번안의 한 양상',「이화어문논집」 38집, 이화어문학회, 2016. “규곤의측을 통해 본 조선 후기 한글 여성교훈서의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0집, 2015. “여성교훈서 규곤의측과 <홍씨부인계녀사>의 관계”,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7집, 2013. “개화기 여성 수신서에 나타난 근대와 전통의 교차”, 「한국문화연구」 20집, 2012. “차자 표기 ‘內’와 향가의 해석”, 「진단학보」 110집, 2010. “근대 창작 동요의 수용과 동심의 재구성”, 「청람어문교육」 40집, 2009. “여행에 대한 여성적 글쓰기 방식의 탐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집, 2007. “근대 초기 창작 동요의 미학적 특징”, 「동화와 번역」 11집, 2006. “속요의 현대화, 그 몇 가지 양상에 관한 시론” 「한국시가연구」 19집, 2005. “읽기를 통한 묘사의 방법 고찰-이상의 <산촌여정>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70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보고서 「호크마교양교육과정 평가시스템 개발보고서(1차년도)」, 2016. 2. 「호크마교양교육과정 평가시스템 개발보고서(2차년도)」, 2017. 2. 「국가재정지원사업에 의한 우리대학 교양교육과정 개편 및 방향성 탐색을 위한 정책과제」 2017. 2. 「교양교육 평가시스템을 위한 정책과제」2017.2.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 저서 및 역서 『박완서 소설의 젠더의식 연구』, 역락, 2013. 공저, 『통합적 사고와 글쓰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공저, 『시대•작가•젠더-한국여성작가의 기억과 초상Ⅰ』, 태학사, 2018. 공저, 『김유정 문학의 감정 미학』, 소명출판, 2018. * 연구논문 「노년 신체의 잠재성과 가능성-박완서의 노년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우리문학회, 2020.07. 「테크노사피엔스(Technosapience)의 감수성과 소수자 문학-윤이형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우리문학회, 2020.01. 「LGBT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바디의 상상력과 수행성」, 『이화어문논집』, 이화어문학회, 2019. 08. 「퀴어 소설에 나타난 가족 갈등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06.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여성 혐오 연구-『살아있는 날의 시작』(1980)과 「친절한 복희씨」(2006)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9. 03. 「애도 (불)가능의 신체와 문학의 정치성-한센병 소설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이화어문학회, 2018.12. 「김유정 소설의 정동 연구-연애, 결혼 모티프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12. 「시대적 공통감각의 문학화와 ‘다시’의 박완서」, 『이화어문논집』, 이화어문학회, 2017. 08. 「김훈의 역사소설에 나타난 역사 변용의 원리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7. 06. 「‘빛’을 향해 서다/가다/쓰다: 나혜석의 ‘여성’과 ‘여성문학’」, 『나혜석연구』, 나혜석 학회, 2016. 06.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노년기 정체성의 위기와 문학적 대응-「저물녘의 황홀」, 「석양에 등을 지고 그림자를 밟다」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5. 03. 「식민지 시대 관습(慣習)의 법제화와 문학의 젠더 정치성-이선희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12. 「식민지 근대의 문화번역과 신여성-나혜석을 중심으로」, 『나혜석연구』, 나혜석 학회, 2014. 06.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남편’의 표상과 젠더 정치성 연구」, 『여성문학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12. 「박완서 소설 『그 남자네 집』의 젠더 수행성과 장소」, 『현대문학이론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06.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 저서 및 역서 『백석 시의 기억과 시쓰기 의식 연구』, 역락, 2018. * 연구논문 '김혜순 시에 나타난 ''새''의 사유이미지 연구 -『피어라 돼지』, 『죽음의 자서전』, 『날개 환상통』을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1권, 2021.12., 127-155. '독서지형도의 형성과 청각공동체의 구성 - <책읽아웃>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12권 5호, 2021.10., 387-411. '학술적 글쓰기의 온라인 피드백 사례 연구', 「인문학 연구」 31권, 2021.07., 153-179. '모험서사와 여성혐오의 결합과 독서욕망', 「이화어문논집」53집, 2021.04., 175-196. '근대문학 담론의 상상적 지형도 그리기', 「상허학보」61권, 2021.02., 427-446. '한국 웹소설의 ‘책빙의물’의 특성 연구', 「대중서사연구」 26권 3호, 2020.08., 87-120. '글쓰기 교수학습과정에 나타난 학습연계글쓰기 교수법(WTL)의 효과성 검토', 「한국문예창작」 19권 1호, 2020.04., 101-129. '상상의 질료, 해체의 대상으로서의 역사 -장르소설과 웹소설의 대체역사물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72호, 2020.02., 71-92. '매체의 변화, 작가의 변화', 「상허학보」58권, 2020.02., 621-647. '한국 웹소설 ‘로맨스판타지’ 장르의 서사적 특성 연구', 「인문콘텐츠」 55권, 2019.12., 219-234. '김혜순 시의 ‘몸’ 이미지와 언술양상 연구 - 위계화된 면역과 오염원으로서의 ‘몸’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49집, 2019.12., 208-230. '게이미피케이션 개념을 적용한 인터랙티브 영화 서사 연구 - <블랙미러: 밴더스내치>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논문지」 19권 3호, 2019.06., 101-112. '교양교과에서의 노동감수성 교육방안 연구', 「교양학 연구」, 2018.12., 109-135.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Korean Academic Context: Ideologies in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Their L2 Identities, and Investments', 「외국어교육연구」 32권 4호, 2018.12., 1-46. * 보고서 「한국 웹소설에 나타난 ''책빙의물''의 특성 연구」(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보고서) 2020.09. 「한국 웹소설의 회귀 모티프 연구」(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보고서) 2018.09.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독어독문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독어독문학과 문학석사 독일 마부르크 대학교(Philipps-Marburg-Uni.) 독일문학 문학박사 * 저서 및 역서 『프리드리히 실러의 미적 교육론』, 대화문화아카데미, 2015(공저역서). 『영화 로그인 사고와표현 교육』, 한국학술정보, 2018(공저). 『택시운전사 평론』, 연극과 인간, 2018(공저). * 연구논문 '다매체를 활용한 고전읽기와 비판적 사고교육 -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사고와표현』 제10집 3호, 2017. '과학의 고전읽기 교육사례 연구 - 토머스 헉슬리의 로마니즈 강연 <진화와 윤리>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 11집 1호, 2017. . '반 고흐의 편지와 회화를 활용한 생태학적 사고와 상상력교육', <문학과 환경>, 제16권 1호, 2017. '영화 <그녀 Her>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모형 연구', 『사고와표현』 제9집 2호, 2016. “드라마 『군도』에 나타난 쉴러의 정치적 보수주의 -한국 영화 <군도: 민란의 시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독일문학』 제138집 57권 2호, 2016. “융합적 사고교육을 위한 문학텍스트의 교양수업 활용방안 - 에. 테. 아 호프만의 『모래인간』을 중심으로”, 『사고와표현』 제8집 3호, 2015. “소포클레스의 비극에 나타난 여성 젠더의 이원적 기획과 타자성 - 『안티고네』와 『엘렉트라』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제59호, 2015. “역사와 예술에 대한 시학적 성찰 – 실러의 『발렌슈타인 3부작』을 중심으로”, 「뷔히너와 현대문학」, 제43호, 2014. “미적 인간과 미적 국가의 문학적 구현 – 쉴러의 드라마 『빌헬름 텔』을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제51호, 2013. “괴테의 뱀파이어 담시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 <코린트의 신부>를 중심으로”, 「괴테연구」, 제25집, 2012. “미하엘 엔데의 환상소설 『끝없는 이야기』 연구 -바스티안의 개성화과정을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제24집, 2010. “독일 고전주의 문학의 교양교육적 의미 - 빌헬름 폰 훔볼트의 미학이론 『미적 연구: 괴테의 헤르만과 도로테아』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 제4권, 2010. “근대화학이론과 실험의 시학적 형상화 – 괴테의 『파우스트 2부』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제35호, 2009. “괴테의 지질학 연구와 문학적 담론 – 괴테의 『파우스트 2부』를 중심으로”, 「뷔히너와 현대문학」, 제30호, 2008. Natur, Weiblichkeit und Frauenbilder in theoretischen Schriften und in fruehen Dramen F. Schillers, 「카프카연구」, 제14집, 2006. “요한나 슈피리의 아동소설 『하이디』 연구 -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의 아동인물 미뇽과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뷔히너와 현대문학」, 제27호, 2006. “쉴러의 후기 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인물들의 변화와 발전 - 『마리아 슈투아르트』와 『오를레앙의 처녀』를 중심으로”, 「괴테연구」, 제17집, 2005. “실러의 미학이론에 나타난 젠더불평등 연구 - 『우미와 존엄』을 중심으로”, 「독일문학」, 제95집, 2005.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고전문학 전공) * 저서 및 역서 『달밤의 약속, 완월회맹연 읽기』, 책과 함께, 2019(공저). 『사고와 표현』, 역락, 2019(공저). 『디지털 세대를 위한 창의적 구상과 소통의 글쓰기』, 박이정, 2015(공저) 『소현성록』3, 4, 소명, 2010(공역). 『임씨삼대록』2, 소명, 2010. * 연구논문 「<화문록> 속 ‘난화’의 재현 양상과 의미」, 『영주어문』45, 영주어문학회, 2020. 「18세기 국문장편소설의 애정 서사를 읽는 재미-처처갈등담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56, 한국고전문학회, 2019. 「고전소설의 콘텐츠화의 한 사례 고찰 – 웹소설 <설공찬환혼전>의 고소설 <설공찬전> 변개를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46, 이화어문학회, 2018. 「국문장편소설 고전소설의 문학교육의 한 방안 - <보은기우록>을 중심으로」, 『어문론집』71, 중앙어문학회, 2017. 「국문장편소설의 전고(典故) 운용 전략과 향유층의 독서문화 연구」, 『한국고전연구』36,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유선쌍학록>에 나타난 유흥의 양상과 기능」, 『어문론집』67, 중앙어문학회, 2016. 「<범문정충절언행록>의 유모 ‘열엽’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17-1,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명주기봉>의 유희적 속이기의 특징과 기능」, 『고전문학연구』45, 한국고전문학회, 2014. 「학술적 글쓰기로서 논문 서평쓰기 수업 모형 연구」, 『교양교육연구』7-5,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의미 – 예술계열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작문』4, 대학작문학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