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덕 | 
						2019 | 
						인지 양식과 듣기 전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박지연 | 
						2019 | 
						학습자 요인에 따른 한국어의 종결어미와 핵억양의 공손성 실현 | 
						한국어교육박사 | 
					
					
						| 심명은 | 
						2019 | 
						음성 높낮이 보정 피드백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초분절 음소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박사 | 
					
					
						| 심은지 | 
						2019 |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구문 사용에 나타난 통사 점화 효과 | 
						한국어교육박사 | 
					
					
						| Toktarova, Zhansaya | 
						2019 |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교육과정 혁신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진송수 | 
						2019 | 
						중도 입국 학습자 대상 학교 적응 지원 한국어 어휘 교수 설계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최지영 | 
						2019 | 
						중국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권근덕 | 
						2019 | 
						한국인과 유학생의 학위 논문 결과 및 논의 부분의 헤지 표현 비교 연구: 경영학 분야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Ozaki, Yu | 
						2019 | 
						한국과 일본의 회고적 영화를 통해서 본 노스탤지어에 대한 비교문화분석 | 
						한국문화석사 | 
					
					
						| 이샛별 | 
						2019 | 
						한국어 조사 ‘이/가’, ‘은/는’ 사용 양상 연구: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 작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김태은 | 
						2019 | 
						한국어 모어 화자와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에 대한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조은미 | 
						2019 |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소슬 | 
						2019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이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기술의 교수 우선순위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양소희 | 
						2019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장르 분석 연구: 행정학 전공 석사 학위 논문 서론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예나 | 
						2019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최수아 | 
						2019 | 
						한국 블로그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수용 양상과 특성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Kao, Yinju | 
						2019 | 
						웹툰을 활용한 종결 기능 연결 어미 교육 연구: 대만인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Michelon, Elisabetta | 
						2019 | 
						이탈리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절 시제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Aye Mya Thandar Maung | 
						2019 |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이해 및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Wong, Lin | 
						2019 | 
						홍콩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텍스트 응결 장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윤미소 | 
						2019 | 
						비한자권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한자 접두사 교수가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은하연 | 
						2018 | 
						21세기 한국 현대 여성의 동안 메이크업 이미지에 나타난 동안미(童顏美)의 문화사적 의미 연구 | 
						한국문화박사 | 
					
					
						| Nishiyama, China | 
						2018 | 
						영화 분석을 통한 한국과 일본 가족 비교 연구 | 
						한국문화박사 | 
					
					
						| Ma XIAOLU | 
						2018 | 
						한국미의 자연성 연구 : 한중 궁궐원림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박사 | 
					
					
						| 나원주 | 
						2018 | 
						한국어 쓰기 피드백 지침서 개발 연구 : 매타 분석과 실천적 실행 연구를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박사 | 
					
					
						| 강수정 | 
						2018 | 
						중도입국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통합적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한국어교육박사 | 
					
					
						| Pumala,Henna Marika | 
						2018 | 
						Compliance and Transgression: Lesbian Representation in Park Chan Wook’s The Handmaiden (2016) | 
						한국문화석사 | 
					
					
						| 오성희 | 
						2018 | 
						20세기 이후 한국전통음악의 혼종화 과정 연구 | 
						한국문화석사 | 
					
					
						| 최보르미 | 
						2018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장르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정경진 | 
						2018 | 
						다문화 아동을 위한 한국어 관용 표현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임수현 | 
						2018 |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산출과 인지 양상 연구 - 문종결 위치의 '-(으)ㄹ 걸' 실현 문장을 중심으로 - | 
						한국어교육석사 | 
					
					
						| 유선영 | 
						2018 | 
						여성 결혼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사회적 소수자 차별 요소 분석 | 
						한국어교육석사 | 
					
					
						| 여희민 | 
						2018 | 
						성별과 상황 변인에 따른 한국인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응답 화행 | 
						한국어교육석사 | 
					
					
						| 박예란 | 
						2018 | 
						숙달도와 거주기간, 노출시간이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 표현 이해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문연정 | 
						2018 |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문 습득 : 주어의 유정성이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김지연 | 
						2018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사용과 이에 대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반응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강예지 | 
						2018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재귀사 '자기' 습늑 | 
						한국어교육석사 | 
					
					
						| Rosyadi, Alfiana Amrin | 
						2018 | 
						인도네시아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완화 장치 사용 분석 | 
						한국어교육석사 | 
					
					
						| Touch, Soklang | 
						2018 | 
						캄보디아 대학 한국어 학습자 대상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Sanguansin, Suwatjana | 
						2018 | 
						중도 입국 학습자 대상 학교 적응 지원 한국어 어휘 교수 설계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Sang, Nai Houy | 
						2018 |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드라마 활용 방안 연구 : 캄보디아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Osari Miki | 
						2018 | 
						자아성찰 도구 미트릭스를 활용한 자아성찰 한국어 학습 효과에 대한 고찰 | 
						한국어교육석사 | 
					
					
						| 오민아 | 
						2018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이/가' 중출문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박정연 | 
						2018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 구조와 문체적 특성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김지연 | 
						2018 | 
						한국어 교사의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관한 경험 탐구 | 
						한국어교육석사 | 
					
					
						| Hua, Shengnan | 
						2018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습득 연구 : 한중 사동문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지연 | 
						2018 | 
						스마트 러닝 및 어휘 학습 측면에서의 '세종 한국어 어휘학습 - 초급 '중급'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계윤미 | 
						2018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과의 상관관계 연구 : 회복 탄력성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SONG, Xiaoqian | 
						2017 | 
						Screening Life and Dreams : Moon Ye-bong in the 20th Century Korean National Cinema | 
						한국문화박사 | 
					
					
						| 오윤정 | 
						2017 | 
						여성잡지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 주거문화 연구 | 
						한국문화박사 | 
					
					
						| 김민선 | 
						2017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완화 장치 사용과 한국인의 반응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KUNGHAE SAMAWADEE | 
						2017 |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 의문문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윤새롬 | 
						2017 |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의 다단어 단위 연구 : 이동 마디와의 연결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박사 | 
					
					
						| 구지민 | 
						2017 |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에 따른 상위 언어 및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의 관계 연구 : 재한몽골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박사 | 
					
					
						| BATJARGAL, ENKHTUYA | 
						2017 | 
						몽골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적 글쓰기 텍스트 분석과 교육 방안 | 
						한국어교육박사 | 
					
					
						| 조은영 | 
						2017 | 
						중국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장르별 글쓰기 특징에 대한 사례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이지은 | 
						2017 | 
						반성적 교사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실행연구 : 한국어 교사의 구어 수정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박사 | 
					
					
						| 민지선 | 
						2017 | 
						현대의 '엄마 노릇' 양상에 대하여 : 자녀의 대학 입시 준비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유영 | 
						2017 | 
						<아리랑>의 인식과 위상의 변화에 대하여 : <본조아리랑>의 형성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이진아 | 
						2017 | 
						'골목길 투어'의 배경과 의미 : '을지유람' 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조윤주 | 
						2017 |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인식 조사 및 실제 오류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Yasotarin, Prawporn | 
						2017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김지현 | 
						2017 | 
						문말 억양에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과 산출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정수인 | 
						2017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나’와 ‘(이)라도’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최선미 | 
						2017 |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최정윤 | 
						2017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효능감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허지현 | 
						2017 | 
						수도권 대학 일본인 교원의 한국어 교육 요구 분석 | 
						한국어교육석사 | 
					
					
						| Rismawati | 
						2017 | 
						인도네시아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과 듣기 전략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Sholeva, Irina Konstantinova | 
						2017 | 
						불가리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HONG, RATANA | 
						2017 |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김혜성 | 
						2017 |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 습득 연구 : 조사 '가' 와 '를' 의 실현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변경아 | 
						2017 |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교수·학습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교육석사 | 
					
					
						| 이민정 | 
						2017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 인용 표현 의미 기능 습득 양상 | 
						한국어교육석사 | 
					
					
						| Dini, Jelita | 
						2017 | 
						인도네시아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Dong, Fangyuan | 
						2017 |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이 쓰기에서 어휘적 연어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Sin, Kannika | 
						2017 |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관계 연결어미 습득 연구 : '-(으)면', '-거든'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Vet, Navy | 
						2017 |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과관계 연결어미 습득 연구 : '-아서, -(으)니까, -느라고' 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Xu, Mingyue | 
						2017 | 
						역번역이 중국인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의 조사·어미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정혜선 | 
						2017 | 
						플립 러닝을 활용한 화용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관례어 이해와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정혜윤 | 
						2017 | 
						발음 오류에 제공된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인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권미경 | 
						2016 | 
						차이와 차별 : 한국 근현대 사치 소비의 문화사 | 
						한국문화박사 | 
					
					
						| 신유진 | 
						2016 |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다문화가족 담론 연구 :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박사 | 
					
					
						| 황선영 | 
						2016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습득 연구 : 직시와 직시적 투사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박사 | 
					
					
						| 정진 | 
						2016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상 양태 선어말어미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박희원 | 
						2016 | 
						2000년대 창작판소리 정체성 연구 | 
						한국문화석사 | 
					
					
						| 김다인 | 
						2016 | 
						한국 문화 이해 교육을 위한 <국제시장> 활용 방안 연구 | 
						한국문화석사 | 
					
					
						| 김은아 | 
						2016 | 
						1930년대의 살인사건 보도양상 연구 : '마리아 참살사건'과 '양주 나무장사 실종사건'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Chiang, Phoebe | 
						2016 | 
						Gendering Contemporary South Korea : The Projection of Masculinity in South Korea’s ‘Underground’ Hip-hop Music | 
						한국어교육석사 | 
					
					
						| 송효숙 | 
						2016 | 
						발표 담화에 나타난 캄보디아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응결 장치 사용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전혜민 | 
						2016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Li, Jiawei | 
						2016 | 
						한국어 교육에서 자음 발음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교육석사 | 
					
					
						| 안규정 | 
						2016 | 
						웹툰을 활용한 내용 중심 교수법 기반 다문화학생 대상 한국사 수업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우지선 | 
						2016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쓰기 교재 분석과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홍다은 | 
						2016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 경험에 따른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이민경 | 
						2016 | 
						구어와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응결장치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이보라미 | 
						2016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설명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김태진 | 
						2016 | 
						재미한글학교 학습자 정체성 구성요인과 언어정체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홍승아 | 
						2016 | 
						한국어 지시화행에서 나타난 공손성의 이해와 사용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하지혜 | 
						2016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어 위치 및 어순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손빛나라 | 
						2016 | 
						온라인 문자 채팅에서의 교사-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간 오류 수정을 위한 의미협상 양상과 학습자 태도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진길남 | 
						2016 | 
						구어에서의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의 의미 기능 습득 연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황바롬 | 
						2016 | 
						20세기 전반 한·일 미술관 연구 : 공공미술관 전시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최주미 | 
						2016 | 
						문학 텍스트 내 어휘 주석 유형에 따른 한국어 연어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ABDELHAMID, REEM MAHMOUD MOHAMED | 
						2016 |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에 대한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Intrarat, Mintra | 
						2016 | 
						교재 분석을 통한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Lin, Wen | 
						2016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습득 연구 : 사동문의 생산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Luo, Hui | 
						2016 | 
						한·중 심리용언의 품사 일치 여부에 따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심리용언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Peng, Lin Lin | 
						2016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四字成語)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TABUCHI, MIU | 
						2016 |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일본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응결 장치 사용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Xu, Xue | 
						2016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는데' 습득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양가원 | 
						2016 | 
						<TV동화 빨간 자전거>를 활용한 여성 결혼 이민자 대상 문화 교육 방안을 활용한 여성 결혼 이민자 대상 문화 교육 방안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슬 | 
						2016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경영학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SIRIRAT, SIRINAT | 
						2015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황진주 | 
						2015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에 나타난 언어적 전략과 비언어적 전략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최효선 | 
						2015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음동화 규칙 인지와 산출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최형연 | 
						2015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호응 부사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주현하 | 
						2015 | 
						장르 중심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석사학위 논문 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Song, Yini | 
						2015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어중출문 인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Pang, Yingjie | 
						2015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결합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Luk Yun Tsz, Lavina | 
						2015 | 
						학습 환경이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홍콩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Verhuny Vianda Kharidini | 
						2015 | 
						자바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JIANG, chuan | 
						2015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추측 양태 표현 습득 연구 : '-겠-', '-(으)ㄹ 것이다', '-(으)ㄴ가/나 보다'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HSU, TZU-TING | 
						2015 | 
						20세기 한국과 대만의 현대무용 비교고찰 : 최승희(崔承喜)와 채서월(蔡瑞月)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Ethevenin, Céline | 
						2015 | 
						A Comparison of the View of Libertinage in “Dangerous Liaisons” and “Untold Scandal”: Focusing on the characters and their motivations | 
						한국문화석사 | 
					
					
						| Olga Anufrieva | 
						2015 | 
						The representation of hyŏnmo yangch`ŏ notion and its change in Korean cinema: Focusing on The Mother and the Border (1961) and its contemporary remake The Houseguest and My Mother (2007) | 
						한국문화석사 | 
					
					
						| Anistratova Ekaterina | 
						2015 |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에 나타나는 억양의 실현 양상 연구 : 문두 강세구와 문말 억양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Adachi,Noriko | 
						2015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신체어휘 관용구 교육방안 : '가슴'과 '눈'이 들어가는 표현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은하 | 
						2014 | 
						한국어 학습자의 암시적·명시적 지식 측정을 위한 과제 타당화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박은선 | 
						2014 | 
						장르 중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의 실행연구 : 대학원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박사 | 
					
					
						| 최수진 | 
						2014 |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강수빈 | 
						2014 | 
						모국어와 숙달도에 따른 언어적 청자반응신호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전우주 | 
						2014 | 
						화자의 태도에 따른 억양 사용 양상 연구 : 문종결 위치의 ‘-는데’ 실현 문장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이가은 | 
						201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으)로’의 의미 기능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박늘봄 | 
						2014 | 
						중도입국 학령기 아동이 초기 한국 문화적응 과정에서 겪는 다차원적 경험과 언어능력 발달 양상 | 
						한국어교육석사 | 
					
					
						| 문미경 | 
						2014 | 
						성별에 따른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요청 화행 적절성 인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강현진 | 
						2014 | 
						과제의 인지적 복잡성이 한국어 학술인지 기본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NISHIYAMA, China | 
						2014 | 
						영화 자막이 한국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Soonchan, Sumalee | 
						2014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특수의문문의 함축의미에 대한 이해 | 
						한국어교육석사 | 
					
					
						| Patee, Isariya | 
						2014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형태소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최경화 | 
						2014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습득 연구 :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김민정 | 
						2014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에 재현된 무당 연구 | 
						한국문화석사 | 
					
					
						| 권상화 | 
						2014 | 
						한국 근·현대 예식장의 문화사 :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Zhou, Liying | 
						2014 | 
						근대 여성 이미지에 관한 비교 고찰 : 『모던 일본』 및 『모던 일본 조선판』을 주제로 | 
						한국문화석사 | 
					
					
						| 오나리 | 
						2014 | 
						수정적 피드백 방법이 한국어 학습자의 단형사동 습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양가온 | 
						2014 | 
						언어 학습 환경과 간접성 정도가 고정 표현의 인식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Zhou, Liying | 
						2014 | 
						한중 전쟁영화 이데올로기 비교연구 : <태극기 휘날리며>(2004)와 <집결호>(2007)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Otsuki, Shinobu | 
						2014 | 
						한일 여성교훈서 비교 연구 : 『계녀서』와 『和俗童子訓』의 여성관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Okamuro, Ibuki | 
						2014 | 
						일본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제공 응답 화행 실현 양상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Areeyathanawal, Chutima | 
						2014 | 
						태국 대학에서의 한국학관련 전공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안 연구 : 한국문화 교육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김대옥 | 
						2013 | 
						그림을 이용한 어휘 지도가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 
						한국어교육석사 | 
					
					
						| 정혜란 | 
						2013 | 
						이메일을 통한 수정적 피드백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백영경 | 
						2013 | 
						비한자어권 학습자의 일본어 학습 경험이 제 3 언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추측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김민희 | 
						2013 | 
						교수 유형과 형태·의미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 띄어쓰기 지도 효과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HE, Wenqi | 
						2013 | 
						중국인 한국어학습자 대상 한중 중한 번역 수업 실태 조사 | 
						한국어교육석사 | 
					
					
						| Komatsu, Hanae | 
						2013 | 
						한국어 교재 삽화 분석 : 한국과 일본에서 출판된 초급 교재 삽화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안재린 | 
						2013 | 
						한국어 어휘 학습을 위한 모바일 게임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조은주 | 
						2013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산출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승민 | 
						2013 | 
						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심윤진 | 
						2013 | 
						모바일 게임 앱의 활용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박세다 | 
						2013 | 
						영화 로맨스 빠빠의 아버지상 연구 | 
						한국문화석사 | 
					
					
						| 김정연 | 
						2013 | 
						한국어 학습자의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고은정 | 
						2013 |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유현숙 | 
						2013 | 
						기산 김준근 풍속도 고찰 | 
						한국문화석사 | 
					
					
						| Kesmanee, Chutimon | 
						2013 | 
						숙달도에 따른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과거 관형사형 어미 사용 양상 | 
						한국어교육석사 | 
					
					
						| Jin, Huiying | 
						201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 표현 이해도 및 이해전략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홍인화 | 
						2013 | 
						한국어 이메일에 관한 장르 분석적 연구 :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김지현 | 
						2013 | 
						발화속도에 따른 운율경계 형성과 음운변동규칙 적용 연구 : 중급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유사원 | 
						2013 | 
						「조선미인보감(朝鮮美人寶鑑)」에 나타난 개화기 기생의 기예 연구 : 춤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송혜나 | 
						2012 | 
						한국 전통음악의 예술적 표출양식 연구 | 
						한국문화박사 | 
					
					
						| 전경선 | 
						2012 | 
						장르 중심 교수가 석사학위 논문 서론 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오솔샘 | 
						2012 | 
						어휘 과제 유형이 한국어 관용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나혜숙 | 
						201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 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 '-(으)면, -거든, -어야'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권유진 | 
						2012 | 
						모둠별 피드백 제공 훈련이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Sun, He | 
						201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지표현 사용 양상 연구 : ‘-(으)ㄹ게’와 ‘-(으)ㄹ래’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Cong, Ni | 
						201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양보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 '-아/어도와 -ㄴ들'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Yin, Lan | 
						201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높임법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주미옥 | 
						2012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교재에 나타난 한국·한국인의 이미지 변화 : 1980년대 후반에서 2007년까지 | 
						한국문화석사 | 
					
					
						| 한민지 | 
						2012 | 
						구두 반복 학습 전략과 음운 단기 기억 능력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조은영 | 
						2012 |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국문 초록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정나영 | 
						2012 | 
						『삼국유사』 영어 번역본의 문제점 분석 : 「기이」편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이수연 | 
						2012 |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결과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소연 | 
						201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습득 연구 : 보조용언 ‘-고 있다’, ‘-어 가다’, ‘-어 오다’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윤여옥 | 
						2012 |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연구방법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문영하 | 
						2012 | 
						몽골 청소년의 몽골어·한국어 숙달도와 문화적응 유형의 상관관계 | 
						한국어교육석사 | 
					
					
						| 김지수 | 
						2012 | 
						역할극 수행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김나나 | 
						2012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장면에 따른 한국어 불안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권미경 | 
						2012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생략 유형과 성분에 따른 이해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LI, QIAN | 
						2012 | 
						한국어 어휘 학습에 반이중어사전의 필요성 : 중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ANJALI, SINGH | 
						2012 |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 오류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주희 | 
						2012 |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결론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배예빈 | 
						2012 | 
						작업 기억 용량의 개인차가 새로운 어휘의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김지혜 | 
						2012 | 
						살풀이춤의 위상에 관한 일 고찰 : 사회적 과정을 中心으로 | 
						한국문화석사 | 
					
					
						| 진은영 | 
						2012 | 
						거주 기간 및 학습 기간에 따른 한국어 지시어 습득 양상 연구 : 일본어권 아동 및 청소년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정란 | 
						2011 | 
						일한국어 학습자의 양태 표현 습득에 나타난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발달 관계 연구 | 
						한국어교육박사 | 
					
					
						| 배재원 | 
						2011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한국문화박사 | 
					
					
						| 백승주 | 
						2011 |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과 학습자 인지 양식이 우연적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유현주 | 
						2011 | 
						한국 개신교에 나타난 무교적 성격 연구 | 
						한국문화석사 | 
					
					
						| 이민아 | 
						2011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작류에 따른 과거시제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최은정 | 
						2011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에 나타난 시제와 상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설수연 | 
						2011 | 
						서면으로 제공되는 수정적 피드백, 제2언어적성 및 학습자 태도가 한국어 조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엄상란 | 
						2011 | 
						한국어 교사와 중국인 학습자의 문화적 규범을 둘러싼 부적응 사례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성지희 | 
						2011 | 
						한국 사극영화에 나타난 한국음악의 특성과 의미 | 
						한국문화석사 | 
					
					
						| Lein, Gim Woon | 
						2011 | 
						말레이시아 정부 장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요구분석 | 
						한국어교육석사 | 
					
					
						| 이현희 | 
						2011 |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쓰기 수업이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홍콩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박성미 | 
						2011 | 
						시각적 입력 강화가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형 어미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김서현 | 
						2011 | 
						교육 연극이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오은경 | 
						2011 | 
						한국어 초분절음 교육을 위한 자기 수정 활동의 개발과 효과 | 
						한국어교육석사 | 
					
					
						| 김수정 | 
						2011 | 
						한국어 교재의 공손성 분석 : 요청 발화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김하영 | 
						2011 | 
						언어 학습 환경이 화용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문법 인식과의 비교를 통해 | 
						한국어교육석사 | 
					
					
						| 권지영 | 
						2011 | 
						학습 환경과 숙달도가 요청 화행 생산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오윤정 | 
						2011 | 
						한국어교육 전공 유학생을 위한 문법 전문용어 선정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진주 | 
						2011 | 
						특정 항목을 대상으로 한 집중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Chun, Hee Chung | 
						2011 | 
						재미교포 청소년의 문화정체감과 한국어 숙달도의 상관관계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ZHOU, WENXIAN | 
						2011 | 
						초급 중국인 학습자의 한중 동형이의 한자어 학습전략 사용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구자혜 | 
						2011 | 
						대화 상대자 간 숙달도 차이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의미협상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김태진 | 
						2011 | 
						재미 한글학교 교육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교육주체 요구분석 | 
						한국어교육석사 | 
					
					
						| 민유미 | 
						2011 | 
						모국어와 숙달도에 따른 담화표지 ‘뭐’의 의미 기능 이해 :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심연수 | 
						2011 | 
						야간통행금지제도와 밤 시간의식 형성에 관한 연구 :1971~1990년 동아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심은지 | 
						2011 | 
						한국어 학습자 작문에 나타난 시제상 습득 연구 : 담화구조가설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정수민 | 
						2011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유형에 따른 피동 표현 습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홍승연 | 
						2011 | 
						모국어와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추측 표현 습득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박성원 | 
						2011 | 
						일제강점기의 경성미술구락부 활동이 한국 근대미술시장에 끼친 영향 : 『京城美術俱樂部創業二十年記念誌: 朝鮮古美術業界二十年の回顧』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홍승아 | 
						2010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거주기간에 따른 불평 화행의 인지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Hoang, Thi Hai Anh | 
						2010 |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입국 전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 
						한국어교육석사 | 
					
					
						| 김미혜 | 
						2010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습득 연구 : 장·단형 사동문에 대한 생산과 이해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순연 | 
						2010 |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서울 지역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 교육 주체를 대상으로 | 
						한국어교육석사 | 
					
					
						| 채윤정 | 
						2010 | 
						과제의 복잡성이 한국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Du, Fan | 
						2010 | 
						자기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인식 및 수정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이지혜 | 
						2010 |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적 의미에 대한 인식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진동희 | 
						2010 | 
						처리교수가 한국어 과거시제 습득에 미치는 효과 | 
						한국어교육석사 | 
					
					
						| 천성옥 | 
						2010 | 
						요구분석을 통한 한국어·문화 교육 통합 프로그램 설계 방안 연구 : 비정규 비영리 한국어 교육 기관을 중심으 | 
						한국어교육석사 | 
					
					
						| 황후영 | 
						2010 |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부정 표현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ZHANG, XIANMEI | 
						2010 | 
						재한 조선족 유학생의 한국관 | 
						한국문화석사 | 
					
					
						| 정연화 | 
						2010 | 
						의미 협상이 한국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임영선 | 
						2010 | 
						1980년대 전통담론과 국악 : 예술사회학을 통해 본 국악비평 | 
						한국문화석사 | 
					
					
						| 박은경 | 
						2010 |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대상의 내용중심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주체 요구분석 | 
						한국어교육석사 | 
					
					
						| 정선영 | 
						2010 | 
						단어 분석 전략과 문맥 단서 활용을 통한 한자어 접미사 교육이 비한자권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교육석사 | 
					
					
						| 최이슬 | 
						2010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응대 화행 발달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하지혜 | 
						2010 | 
						일본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네'의 의미 기능별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박세진 | 
						2010 | 
						궁중연향음식문화에 나타난 떡(餠)의 위상에 관한 연구 : 고종(高宗)대 연향의궤(宴享儀軌)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석사 | 
					
					
						| 이연경 | 
						2010 | 
						교수의 명시성 수준에 따른 한국어 요청 화행 교수 효과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 
					
					
						| Tamano, Fumika | 
						2010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첫 대면 대화에 나타난 한국어 화계 연구 | 
						한국어교육석사 |